반응형 고양이감기2 고양이 감기의 종류(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 상부 호흡기 질환은 전염성이 매우 높고 새끼 고양이 같은 경우에는 치사율이 50% 가까이 된다. 고양이 사이에서는 전염성이 매우 강하지만 사람에게는 옮기지 않는다. 고양이 역시 사람의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 고양이를 공격하는 바이러스는 사람으로 감염되지 않으며, 사람의 바이러스도 고양이로 감염되지 않는다. 가장 많이 감염되는 바이러스는 허피스바이러스군과 칼리시바이러스군이다. 고양이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군은 급성기가 지나면 만성 보균 상태가 된다. 급성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 감염 후 어떤 고양이는 경미한 증상을 보이는 한편 어떤 고양이는 급속히 악화되기도 해 때로는 치명적이다. 고양이 감기는 고양이끼리의 감염된 눈, 코, 입의 분비물 접촉, 오염된 화장실, 물그릇, 사람의 손, 드물게는 공기 중으로 서.. 2022. 11. 2. 고양이에게 사람 감기약을 먹여도 될까요? 고양이가 콧물을 흘리거나 기침을 한다면 고양이 감기에 걸렸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눈꼽이 끼거나 눈병에 걸렸을 경우나 발을 저는 경우에도 감기일 가능성이 크다. 고양이 감기로는 허피스, 칼리시가 대표적인데 이것말고도 폐렴이거나 다른 질병일 가능성도 있으니 일단 증상이 심하다면 무조건 병원에 가는것이 좋다! 경험상 미루다가 큰돈 쓰는경우가 많았다. 아세트아미노펜 - 타이레놀-은 독성을 일으켜 죽음에 이를 수도 있으므로 절대로 먹여서는 안되는 약이다. 사람약은 잘 못 먹이는 경우 독이되므로 부득이한 경우는 동물약국에서 전문약품응 구매를 하는것이 좋다. 미미- ㅇㅇ병원가는게 나음 2022. 9. 18. 이전 1 다음 반응형